한줄 명리학/일주 [단식](12)
-
띠 별 궁합, 띠궁합
좋음보통나쁨상극쥐소, 용, 원숭이쥐, 호랑이, 뱀, 개, 돼지토끼, 닭, 양말소쥐, 뱀, 닭소, 호랑이, 토끼, 원숭이, 돼지용, 개양호랑이말, 개, 돼지쥐, 소, 호랑이, 토끼, 용, 양뱀, 닭원숭이토끼양, 개, 돼지소, 호랑이, 토끼, 뱀쥐, 용, 원숭이, 말닭용쥐, 원숭이, 닭호랑이, 뱀, 말, 양소, 토끼, 용, 돼지개뱀소, 닭쥐, 토끼, 용, 뱀, 말, 양호랑이, 원숭이, 개돼지말호랑이, 양, 개용, 뱀, 원숭이, 닭, 돼지소, 토끼, 말쥐양토끼, 말, 돼지호랑이, 용, 뱀, 양, 원숭이, 닭쥐, 개소원숭이쥐, 용소, 말, 양, 원숭이, 닭, 개토끼, 뱀, 돼지호랑이닭소, 용, 뱀말, 양, 원숭이, 돼지쥐, 호랑이, 닭, 개토끼개호랑이, 토끼, 말쥐, 원숭이, 개, 돼지소, 뱀, 양, 닭용돼지호..
2024.12.26 -
천간충, 지지충, 천간합, 지지합, 지지삼합, 지지방합, 반합, 형충파해합, 오행별 숫자
1. 천간충, 지지 충천간충내가 극하는 오행 중에서 음양이 같은것 나를 극하는 오행 중에서 음양이 같은것지지충( 지지충은 각각 자신으로부터 7번째 지지와 충하게 된다.) 갑경충 (甲庚沖) : 경금(+)이 갑목(+)을 극함 자오충(子午沖) 을신충 (乙辛沖) : 신금(-)이 을목(-)을 극함 축미충(丑未沖) 병임충 (丙壬沖) : 임수(+)가 병화(+)를 극함 인신충(寅申沖) 정계충 (丁癸沖) : 계수(-)가 정화(-)를 극함 묘유충(卯酉沖) 무임충 (戊壬沖) : 무토(+)가 임수(+)를 극함 진술충(辰戌沖) 갑무충 (甲戊沖) : 갑목(+)이 무토(+)를 극함 사해충(巳亥沖) 을기충 (乙己沖) : 을목(-)이 기토(-)를 극함 병경충 (丙庚沖) : 병화(+)가 경금(+)을 극함 ..
2024.12.20 -
일간으로 보는 이성을 선택할 때 참고해야 할 사항
우리는 극을 하는 것과 극을 당하는 것에 약간의 착각을 하고 있는 걸 수도 있습니다.예를들어 금극목인 경우 목이 금에게 극을 당하고 있다는 이유로 목이 무조껀 손해라는 편견을 가지고 있는데반대로 금극목의 경우 금이 손해를 보는 경우가 많을 수도 있습니다. 나무를 희생하기 위해 칼날이 서는 게 아닌,나무가 잘 크기 위해 칼날이 희생하고, 토양의 양분을 나무가 빨아 당기는 게 아닌,토양이 썩지 않게 불필요한 양분을 나무가 흡수하여 희생하고, 물에 흙이 쓸려 내려가는 것이 아닌,물이 모이고, 제대로 흐를 수 있도록 흙이 젖어가며 희생하고, 불이 물 때문에 꺼지는 것이 아닌,불 조절을 위해 수증기가 되어가며 물이 희생하고, 불 때문에 금이 녹는 것이 아닌,금이 제대로 완성되기 위해 불이 타오르며 희생하고, 그래..
2024.11.09 -
사주가 잘 맞지 않는 이유..
명리학의 확률은 통상 70%라고 보는 게 정설인 듯 합니다. 사주풀이를 해도 잘 안 맞는 것 같이 느껴지는 이유는 크게 4가지 정도라고 봅니다. 첫번째는 본인이 태어난 날짜를 정확하기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 이런 경우는 답이 없습니다. 본인이 태어난 년월일시가 정확하지 않으면 결국 남에 사주를 봐 주는 것 밖에 안되기 때문입니다. 두번째는 사주를 섬에서 배운 돌팔이인 경우 명리는 억부(적천수천미)(명리약언), 격(자평진전), 조후(난강망)(궁통보감)등으로 주로 나뉘며, 각각 추구하는 바가 조금씩 틀리기 때문에 해석도 제각각입니다. 누가누가 잘 보고, 누가누가 못 본다는 것은 평가하는 사람 나름이지만 워낙 범위가 방대하고, 내용자체도 심오하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오랜 학습과, 경험, 그리고 높은 이해력을 가진..
2023.08.12 -
각 일간별 결혼(배우자) 상대
고서에서도 언급하고, 명리에 대해 조금이라도 눈치 있는 사람이라면 대충은 짐작했을 것이다. 건명에게 있어서 곤명은 곳 재성이고 곤명에게 있어서 건명은 곳 관성이라 즉, 남자는 자신에게 있어서 재성으로 작용하는 일간에게 끌리거나 이상형에 가까울 것이고 여자는 자신에게 있어서 관성으로 작용하는 일간에게 끌리거나 이상형에 가까울 것이다. 갑목남(관성)에게는 무토녀(재성)가 끌리고 을목남(관성)에게는 기토녀(재성)가 끌리고 병화남(관성)에게는 경금녀(재성)가 끌리고 정화남(관성)에게는 신금녀(재성)가 끌리고... 당연하겠지만 여자는 임수녀(재성)에게는 무토남(관성)이 끌리고 계수녀(재성)에게는 기토남(관성)이 끌리고 갑목녀(재성)에게는 경금남(관성)이 끌리고 을목녀(재성)에게는 신금남(관성)이 끌릴 것이다. 그..
2023.05.23 -
온라인에서 유명인 사주 풀이 한 것을 보면..
유명인 사주들 대부분은 대체적으로 시간을 알 수 없는데 임의적으로 넣은 시간대를 보면 오행의 균형을 생각해서 넣는 경우가 많은 거 같음. 일단 오행의 균형을 갖춰야 어느정도 내, 외적으로 바른(?) 인물이 나오는 건 맞지만 그렇다고 유명인이 반드시 내, 외적으로 바른 인물이라고 단정 짓기는 힘들지 않을까? 외적으로는 안정되 보이고 좋아보여도, 내적으로는 많은 번뇌를 하고 있을지 누가 알리...익스프레스.. 그래서 유명인이든 일반인이든 만세력을 정확하게 모른다면 안 보는게 맞음. 만세력도 정확하지 않는데 풀이하는 내용이 정확할 일은 없을 테니까.. 참고로 삼주육자로 봐도 얼추 나온다고 하는 사람도 있긴 한데.. '얼추'랑 '정확하게'와는 작아보여도 아주 큰 차이가 있다고 봄.
2023.05.09 -
신금 일간과 친구 관계
화일간(병,정) 이 가장 신금의 말을 잘 들어주고 말 뜻을 이해한다. (99%정도) 수일간(임,계) 은 신금의 말을 높은 확률로 잘 들어주고 말 뜻을 이해한다. (75%정도) 금일간(경,신) 은 신금의 말을 중간만 들어주고 말에 반신반의 한다. (50% 정도) 토일간(무,기) 은 신금의 말을 높은 확률로 잘 들어주긴 하는데 대화의 뜻을 잘 이해 못한다. 목일간(갑,을) 은 신금의 말을 무시한다. (10% 내외) (갑목은 대 놓고 무시하고, 을목은 한쪽귀로 듣고 한쪽귀로 흘려 버린다.) 그러므로 신금일간은 화, 수, 토 일간과는 대화가 어느정도 이어져도 금, 목 일간과는 대화를 이어가기 힘들다. (이어가기 힘들다기 보단 이어나갈 필요(의미)가 없다는 게 맞을듯..) 자신의 말을 잘 들어주는 사람과 친구관계..
2023.05.08 -
무인성과 인다자의 차이
무인성은 말을 할 때 친구가 딱 없게 끔 좀 상식이 없고 무식하게 말을 함 반대로 인다자와 말을 하면 굉장히 살갑게 말 하면서도 끝을 약간 삐뚤하게 말을 함 무인성은 친구를 만들고자 노력을 하는 데 친구가 잘 안만들어 지는 케이스라면 (눈탱이) 인다자는 노력은 안해도 친구는 붙는데 굉장히 이해득실을 따지는 관계 정도? (타산 안 맞으면 남수준) 무인성이 일부러 친구를 악착같이 만들고자 노력해서 친구라고 생각하고 만났는 데 알고보니 상대방은 자신을 딱히 친구라고 생각하지 않았다 뭐 이런 수준이라면, 인다자는 처음에는 상대방과 친구로 만났지만 습성상 받아먹기를 좋아하다 보니 이해득실을 따지게 되고 상대방도 인다자의 그런 습성 때문에 이해득실을 서로 따지게 되는 뭐 그런 관계라고나 할까.. 하여튼 무인성이든 ..
2023.01.15 -
특정 육친 다자들의 핵심적인 장점
그나마 육친 다자들의 장점이라면.. 가족을 위해 남에게 인색할 수 밖에 없는 재다 (생활력) 본인과 가족을 위해 악착같이 살 수 밖에 없는 비다 (생활력) 공부에 도움은 안 되지만 재미있는 소설을 보는 것 같은 식(상)다 (재미) 얕지만 폭 넓은 지식인 같은 인다 (도움) 일 하는 양에 비해 대접을 못 받는 관다.. (읭?) 관다를 딱히 미워 하는 거 아님. 그냥 장점이 없다는 것 뿐.. 그리고 중요한 것은 육친이 편중된 게 무조껀 좋고 나쁘다는 게 아니라, 그 편중된 육친이 희신이냐, 기신이냐에 따라 결과물이 다르다는 거 명심하길..
2022.12.01 -
인다자의 인복
타인이 인다자를 보기에 사랑을 많이 받는 걸로 보이는 거 같은데.. 인다자는 겉으로는 사랑을 받는 거 같겠지만, 실제로는 자신의 사람이 없다고 보는 게 맞을듯.. 그냥 타인은 인다자를 대할 때 마치 마찰이 싫어서 잘 대해주는 것 같은 느낌? 내 물건도 아닌 데 잘못 잡으면 깨질 것 같은 계륵 같은 도자기를 대신 옮겨야 하는 심정? 대체적으로 인다자들은 격식을 차리는 듯한 느낌이 강해서 그런지 대인관계도 무난하고, 겉으로 보기에는 특별히 부족함 없는 성격처럼 보일 지 몰라도.. 인다자들의 내면은 매우 복잡하고, 집요하고, 악착같고, 인색하기에.. 심히 가까이 하기 두렵고 짜증나고 무서운 존재들이지.. 관다, 재다, 인다, 비다, 식다 모두 경험한 바로는 성격은 솔직히 인정하긴 싫지만 그래도 지인으로 지내기..
2022.12.01 -
재다 무인성 사주
"재다 무인성" 사주의 가장 큰 문제는 남에 말을 잘 듣지 않고, 본인이 무식하다는 것을 잘 모른다는 것.. 본인이 무식하다는 것을 잘 모른다는 것은 본인이 일을 잘 한다고 착각하고 산다는 것과 동일함 할 일은 많고 일을 하면 성과에 비해 싫은 소리가 많이 나오는 이유.. (자기 고집) 주변인들과 웃으면서 이야기 하지만 속으로는 거리감이 느껴지는 이유.. (차가움) 전부다 본인 스스로 망각하는 버릇이 있기 때문임.. 재다 무인성은 첫번째로, 인간관계를 좀 중요시 할 필요가 있고.. 두번째로, 남에 말을 수용할 줄 알아야 하며.. 세번째로, 본인 고집을 꺾어야 하고.. 네번째로, 자기개발을 더 열심히 하는 게 그나마 삶에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음.. 참고로 단순 무인성이 아닌 "무인성"에 "특정 육친이 많..
2022.11.22 -
갑목 신금 관계
"갑목"은 "신금"이 자신을 좋아한다고 생각하는 데 얼토당토 않은 정신나간 생각임. "신금"은 "을목"은 몰라도 "갑목"은 치를 떨 정도로 싫어함. (사실 "신금"은 "을목"도 답답해서 별로 좋아하진 않음) "갑목"의 쥐뿔도 없는 똥고집과 독고적인 성향 때문에 성격이 개 예민한 "신금"은 병화와 임수는 찾아도 "갑목"은 절대 찾지 않음. 신금과 가장 궁합이 잘 맞는 일간 병화 > 임수 > 계수 > 정화 > 경금 > 무토 > 을목 > 기토 > 신금 > 갑목 순 일듯..
2022.11.01